맨위로가기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는 2세기 기독교 변증가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자신을 아테네 출신으로, 플라톤주의자였으며, 알렉산드리아에서 가르쳤다고 언급했다. 아테나고라스는 '기독교인을 위한 대사'와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하여'라는 저작을 남겼다. '기독교인을 위한 대사'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코모두스에게 기독교인에 대한 변론을 담은 탄원서로, 플라톤 철학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앙을 해석하려 시도했다.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하여'는 부활 교리에 대한 초기 기독교 문헌의 중요한 설명이며, 동시대 철학을 활용하여 부활의 가능성을 옹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기독교 신학자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2세기 후반에서 3세기 초반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서, 그리스 철학과 문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앙을 변증하고 통합하려 했으며, 삼부작이라고 불리는 《권면》, 《교사》, 《스트로마타》 등의 저작을 통해 기독교 보편주의를 옹호하고 교육 분야에서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진보적인 사상을 펼쳤다.
  • 133년 출생 - 채옹
    채옹은 후한 말 다재다능한 인물로, 희평 석경 제작에 기여하고 동탁에게 중용되었으나 왕윤에게 미움을 받아 옥사했으며, 그의 학문과 예술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3년 출생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는 콤모두스 황제 사후 혼란기에 황실 근위대에게 돈을 주고 황위를 샀으나, 66일 만에 반란과 암살로 통치를 마감하며 로마 제국 몰락의 상징이 된 로마 황제이다.
  • 190년 사망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 190년 사망 - 후한 소제 (13대)
    후한 소제는 후한 영제의 아들로 189년에 황위에 올랐지만 동탁에 의해 폐위되어 홍농왕으로 강등되었고, 결국 독살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기본 정보
이름아테나고라스
다른 이름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직업철학자, 교부
출생기원후 133년경
출생지아마도 아테네
사망기원후 190년경
사망지아마도 아테네
공경 대상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축일(동방 정교회)
스타일아테네 사람 아테나고라스, 철학자, 기독교인 (자칭)
주요 저서
한국어 번역그리스도인들을 위한 탄원
한국어 번역죽은 자의 부활에 관하여

2. 생애

그는 저서에서 자신을 "아테네 출신 철학자이자 기독교인 아테나고라스"라고 칭했다. 알렉산더 와일더는 그가 플라톤주의자였다는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판타이누스, 아테나고라스 그리고 클레멘트는 플라톤 철학에 정통했으며, 그것의 본질적인 통일성을 동양 사상과 이해했다."[2] 기독교로 개종한 아테나고라스는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유명한 기독교 아카데미가 될 곳에서 가르쳤다.[3]

아테나고라스의 저작은 널리 알려지고 영향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의 저작에서 언급이 누락된 것은 이상하다. 그의 저술이 익명으로 유통되면서 한동안 다른 변증가의 작품으로 여겨졌을 수도 있으며,[4] 아니면 현재는 알 수 없는 다른 사정이 있었을 수도 있다.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 그에 대한 언급은 단 두 번뿐이다.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312년 사망)의 단편에서 그의 ''변증서''에서 인용된 여러 구절이 인정되고, 필립 오브 사이드(c. 425)의 ''기독교 역사'' 단편에서 신뢰할 수 없는 몇몇 전기적 세부 사항이 언급된다. 필립 오브 사이드는 아테나고라스가 판타이누스보다 먼저 알렉산드리아의 교리 학교의 수장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아마도 부정확하며 유세비우스의 주장과 모순된다)[5], 아테나고라스가 처음에는 성경을 반박하려다가 익숙해진 후에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언급한다.

그의 문장의 리듬과 자료의 배열을 보면 그가 수사학 학교에 다녔음을 추측할 수 있다.[6] 그의 저작은 그의 박식함과 교양, 철학자이자 수사학자로서의 능력, 시대의 지적 기질에 대한 예리한 이해, 그리고 그의 종교에 반대하는 강력한 반대자들을 다루는 그의 재치와 섬세함을 보여준다.[4] 따라서 그의 저작은 후대의 일부 학자들에 의해 현재 더 잘 알려진, 그의 더 논쟁적이고 종교적인 동시대인들의 저작보다 의도된 독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고 있다. 아테나고라스는 또한 사형에 반대하는 초기 기독교인이었다. 그는 그의 변증서에서 "우리는 정당하게 죽임을 당하는 사람을 보는 것조차 견딜 수 없다…"라고 썼다.[7]

그의 저작 중 몇 편만 보존되어 있다. 그의 ''기독교인을 위한 대사(πρεσβεία)'' (일반적으로 라틴어 제목인 ''Legatio Pro Christianis'' 또는 단순히 ''Legatio''로 불리며 종종 ''변증서''로 언급됨)와 ''죽은 자의 부활'' 또는 ''육체의 부활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논문이 그것이다.

3. 저작 및 사상

아테나고라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아테네 출신 철학자이자 기독교인 아테나고라스"라고 칭했다. 그는 플라톤주의자였으며,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기독교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다.[2][3] 그의 저작은 널리 알려지고 영향력이 있었지만, 유세비우스의 저작에서 언급이 누락된 것은 이상한 일이다. 그의 저술이 익명으로 유통되면서 다른 변증가의 작품으로 여겨졌을 수도 있다.[4]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 그에 대한 언급은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와 필립 오브 사이드의 글에 단 두 번 나타난다. 필립 오브 사이드는 아테나고라스가 판타이누스보다 먼저 알렉산드리아의 교리 학교의 수장이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부정확할 가능성이 높다.[5]

그의 문장과 자료 배열을 보면 수사학 학교에 다녔음을 짐작할 수 있다.[6] 그의 저작은 박식함, 교양, 철학 및 수사학적 능력을 보여주며, 그는 시대를 잘 이해하고 재치와 섬세함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는다.[4] 그는 사형에 반대하는 초기 기독교인이기도 했다.[7]

아테나고라스의 저작 중에는 ''기독교인을 위한 변론''(Legatio Pro Christianis)과 ''죽은 자의 부활'' 두 편이 보존되어 있다. ''기독교인을 위한 변론''은 176년 말 또는 177년에 쓰여져,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코모두스에게 기독교인에 대한 정의를 호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죽은 자의 부활''은 ''변증서''보다 늦게 쓰여졌으며, 부활 교리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시한 최초의 기독교 문헌이다.

3. 1. 기독교인을 위한 변론 (Legatio Pro Christianis)

''크리스트교 옹호론''(Legatio Pro Christianisla 또는 줄여서 ''Legatio'')은 176년 말 또는 177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변증서이다. 철학자 아테나고라스는 이 글을 통해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그의 아들 코모두스에게 크리스트교인에 대한 정의를 철학적 근거로 호소한다. 그는 이들을 정복자이자 "무엇보다 철학자"라고 칭송하며 시작한다.[4]

이 ''변증론''은 플라톤의 사상을 사용하여 그리스-로마 문화에 기독교 신앙을 해석하려는 초기 시도였다.[3] 아테나고라스는 먼저 크리스트교인에 대한 비논리적이고 부당한 차별과 그들이 겪는 비방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이어서 무신론 혐의에 대해 반박한다. 당시 크리스트교인에 대한 주요 비난은 로마 신들을 믿지 않음으로써 스스로 무신론자임을 드러낸다는 것이었다. 기독교 문헌에서 신의 단일성에 대한 이 최초의 강력한 논증은 삼위일체에 대한 유능한 해설로 보충되었다.[4]

그는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며, 이교 시인과 철학자를 인용하여, 국가 신에 대한 크리스트교인의 숭배 거부가 터무니없고 부당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이를 정당화한다. 마지막으로, 그는 생각의 순수함과 결혼의 불가침한 신성함에 대한 크리스트교의 이상을 폭로함으로써 부도덕하다는 비난에 맞선다. 식인 풍습 혐의를 반박하면서 아테나고라스는 크리스트교인들이 모든 잔혹 행위와 살인을 혐오하며, 검투사 경기와 맹수 경기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하고, 낙태를 유발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여성은 하나님께 책임을 져야 하는 살인을 저지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8]

3. 2.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하여 (O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하여'''는 아테나고라스의 ''변증서''보다 늦게 쓰여진, 기독교 문헌에서 부활 교리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설명이다. 아테나고라스는 동시대 철학이 제시할 수 있는 최고의 주장을 이 교리를 옹호하는 데 사용한다. 당대의 일반적인 반론에 대응한 후, 창조주의 능력이나 우리 몸의 본성을 고려하여 부활의 가능성을 증명하려고 한다. 그는 그러한 능력을 행사하는 것은 하나님에게 합당하지 않거나 다른 피조물에게 부당한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9]

아테나고라스는 인간의 본성과 목적이 육체와 영혼의 영속성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영혼의 불멸과 부활체의 불멸을 분명히 가르치지만, 죽음과 부활 사이의 영혼은 무의식 상태에 있다고 주장한다. "죽은 자와 잠자는 자는 적어도 현재나 과거에 대한 모든 감각의 부재, 또는 존재 자체와 자신의 삶에 관하여 유사한 상태에 놓여 있다."[9]

4. 영향

아테나고라스의 저작은 널리 알려지고 영향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의 방대한 저작에서 언급이 누락된 것은 이상한 일이다.[4] 그의 저술이 익명으로 유통되면서 한동안 다른 변증가의 작품으로 여겨졌을 수도 있고,[4] 아니면 현재는 알 수 없는 다른 사정이 있었을 수도 있다.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 그에 대한 언급은 단 두 번뿐이다.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 (312년 사망)의 단편에서 그의 ''변증서''에서 인용된 여러 구절이 인정되고, 필립 오브 사이드 (c. 425)의 ''기독교 역사'' 단편에서 신뢰할 수 없는 몇몇 전기적 세부 사항이 언급된다. 필립 오브 사이드는 아테나고라스가 판타이누스보다 먼저 알렉산드리아의 교리 학교의 수장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아마도 부정확하며 유세비우스의 주장과 모순된다)[5], 아테나고라스가 처음에는 성경을 반박하려다가 익숙해진 후에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언급한다.

그의 문장의 리듬과 자료의 배열을 보면 그가 수사학 학교에 다녔음을 추측할 수 있다.[6] 그의 저작은 그의 박식함과 교양, 철학자이자 수사학자로서의 능력, 시대의 지적 기질에 대한 예리한 이해, 그리고 그의 종교에 반대하는 강력한 반대자들을 다루는 그의 재치와 섬세함을 보여준다.[4] 따라서 그의 저작은 후대의 일부 학자들에 의해 현재 더 잘 알려진, 그의 더 논쟁적이고 종교적인 동시대인들의 저작보다 의도된 독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고 있다. 아테나고라스는 또한 사형에 반대하는 초기 기독교인이었다.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는 그의 변증서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우리는 정당하게 죽임을 당하는 사람을 보는 것조차 견딜 수 없다…'"[7]

참조

[1] 웹사이트 "Online Chapel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 Athenagorus the Apologist" http://www.goarch.or[...] 2011-07-27
[2] 서적 New Platonism and Alchemy Albany, N.Y. 1869
[3] 웹사이트 Athenagoras https://www.britanni[...]
[4] 간행물 Athenagora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5] 웹사이트 "Introductory Note to the Writings of Athenagoras" http://www.earlychri[...]
[6] 웹사이트 "Saint Athenagoras of Athens" https://www.oca.org/[...]
[7] 웹사이트 The Death Penalty: Inadmissible and Doctrinally Continuous https://clarifyingca[...] 2022-01-10
[8] 웹사이트 "Ante-Nicene Fathers, Vol. II — Writings of Athenagoras — A Plea For the Christians — Chapter XXXV – The Christians Condemn and Detest all Cruelty" http://www.tertullia[...] 2012-11-06
[9] 서적 Athenagoras, On the Resurrection https://en.wikisourc[...] 2018-07-07
[10]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改訂新版』 教文館 1977
[11] 웹사이트 Handbook of Patrology: First Period, Section II: The Apologists of the Second Century http://www.earlychri[...]
[1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thenagoras http://www.newadvent[...]
[13] 웹사이트 ATHENAGORAS - Online Information article about ATHENAGORAS http://encyclopedia.[...]
[14] 웹사이트 Athenagoras of Athens http://www.earlych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